손가락을 움직이고 팔을 들어 올리며 날아오는 공을 피하고 얼음의 차가움과 뜨거운 커피의 온도를 느끼는 것 모두 신경의 기능이자 역할입니다.
침 근전도 검사와 신경 전도 검사
이런 신경은 온몸의 복잡한 전선처럼 존재하면서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뇌의 명령을 전달하고 피부, 눈, 근육 등의 인체 기관에서 정보를 수집하면서 뇌로 전달합니다. 신경전달 속도가 약 1초에 100m/s라고 하니 짤은 시간에 많은 정보들이 오고 가는 특별한 기관입니다.
만약 말초 신경에 문제가 생겼다면 손과 발을 원하는 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차갑고 뜨거움을 알지 못하거나 손, 발이 저리거나 화끈거림이 계속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럴 때 근전도 검사를 하여 말초 신경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진단을 정확하게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근육은 무수히 많은 근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신경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반응
신경이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인 자극을 받으면 이 신경 줄기에 따라 뇌까지 전달되는데 근육을 수축시키라는 명령을 내려 자극에 반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뜨거운 것을 만지면 대뇌는 근육을 수축시켜 자극에 반응하게 됩니다. 빨 리 뜨거운 것으로부터 떨어져라 명령합니다.
근전도 검사는 전기 신호를 감지해 그래프로 나타나는데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는 평탄한 그래프를 그리지만, 자극이 있는 상태에서는 진폭이 큰 그래프를, 그리고 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지연 반응을 보이거나 지속 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근전도 검사는 의심되는 질환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시행되는데 크게 침 근전도 검사와 신경 전도 검사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침 근전도 검사는 검사할 근육에 삽입해 근육의 수축과 이완 시 발생되는 전기적인 활동성을 측정합니다. 신경전도 검사는 이에 검사 부위에 기록용 전극을 부착하고 전기 자극 기구를 접촉시키면서 검사를 합니다. 이때 기구에서 기록용 전구까지 신경이 전달되는 거리를 측정해 신경전도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근전도 검사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로 특별한 부작용은 없지만 침 전구 룰 삼입 하고 자극이 주어질 때 저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근전도 검사가 전기 자극을 이용해하는 검사인만큼 인공 심장 박동기를 주착 한 환자는 미리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특히 침 근전도 검사의 경우 항응고제를 복용 중이거나 혈소판 감소증, 응고인자 결핍자 환자는 사전에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미리 의사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란? (0) | 2022.06.12 |
---|---|
국가검진 (공단검진) 잘 챙기세요 (0) | 2022.06.11 |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 4가지 (0) | 2022.06.09 |
최악의 아침 식사 (0) | 2022.06.07 |
만성 신부전증(콩팥병)에 좋은 음식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