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상식

치매란?

by susan1539 2022. 6. 12.

치매란 정상적이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뇌에 발생한 여러 가지 질환으로 인하여 인지기능을  상실하여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상태이다.  기억 인식, 추리, 판단력, 시간, 장소, 사람을 인식하는 능력이 없어지는 병이다.  

관련 요인

일종의 뇌의 질환으로서 경험한 사건 전체나 중요한 일도 잊고 힌트를 주거나 나중에 생각해도 거의 기억하지 못하여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인지 능력이 없다 보니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최악의 질병이라 할 수 있다.  건망증은 누구나  경험하는데 생리적인 뇌의 현상이며 경험의 일 부 중 사소하고 덜 중요한 일을  깜빡 잊는데, 힌트를 주거나 시간이 지나 곰곰이 생각하면 기억이 나고 일상생활에 큰 지징이 없는 것이 치미와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 :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이 침착하여 생긴 노인성 신경반과 타우 단백질이 과인산화되면서 결합한 신경섬유다발로 불리는 비정상 물질이 뇌에 축척되어 세포의 기능이 마비됨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혈관성 치매 :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차단되어 뇌세포가 손상되면서 생긴다.
  • 대뇌 병변 :  우울증, 약물 및 알코올 중독,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의 대사성 질환, 비타민 B12 또는 엽산결핍       등의 질환, 정상압 뇌 수두증, 경막하혈종, 뇌염 등으로 인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증상

인지장애로서  말문아 자주 막히고 기억력 저하로 약속을 잊고 물건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수일 전 혹은 수 주일 전에 일에 대한 단기 기억력 저하가 먼저 생기고 병이 심해지면서 장기 기억력 저하가 온다.  언어 능력 저하로 언어 구사 능력이 저하되어 대화중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말문이 자주 막히고 말수가 현저하게 감소하다. 말은 짧고 자주 끊어지며 내용이 빈약하고 앞뒤가 맞지 않아 이해할 수가 없는 말을 한다. 타인의 이야기를 이해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엉뚱하게 이해하거나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남력 저하로 시간 개념이 떨어져 날짜, 요일, 시간을  자주 착각하여 실수하고 심하면 낮과 밤을 구분하는 것도 어려워한다.  오랫동안 지내던 집도 자신의 집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가족의 얼굴을 보고 알아보지도 못하기도 한다.  공간 개념이 떨어져 자주 다니던 곳에서도 길을 잃고 헤매게 되고 집 안에서 화장실과 안방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옷매무새가 흐트러져 지저분한 인상을 준다. 자신의 위생 상태에 관심이 없어지고 이전에 하던 집안일도 하지 못하게 된다. 옷을 혼자서 입을 수도 없어 속옷을 머리가 쓰거나 바지 위에 속옷을 입는 등 상식에서 벗어난 행동을 한다. 정신 행동 증상으로는 우울증으로 말수가 줄고 의욕이 없고 우울한 기분을 표현한다.  식욕이 감소하며 잠을 지나치게 많이 자거나 못 자는 등 수면 양상이 변화한다.  자살에 대한 생각이 증가되며 자살응 시도하기도 한다. 

 

 

정신병적 증상으로는 망상, 환청, 환시가 나타난다. 다른 사람이 자신의 것을 훔쳐 갔다고 주장하는 등 각종 의심이 증가하며 돌아가신 부모님이 집 밖에 와 계시다는 등 착각이 증가한다. 방 안에서 혼자 누군가와 대화를 나누거나 손짓을 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매우 당황해하고 불안해하거나 공포에 예기치 못한 행동을 보인다.  쉽게 불안해하거나 이유 없이 자꾸 서성거리고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하며 초조한 것처럼 행동한다. 

 

이기적이며 논쟁적이고 자주 화를 내기도 하며 한번 화를 내면 걷잡을 수없어 폭발적으로 나타나며 잠시 후에는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조용해진다.  수면 장애로 사 얕은 잠을 자고 자주 깬다.  밤에 배화하고 그 여파로 낮잠을 지나치게 자며 이로 인해 낮과 밤이 뒤바뀌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물건을 모아 숨기기도 하고 침을 뱉는 등의 문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합병증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나 불면증, 환시, 주의력 장애 등을 보일 경우 일단 섬망을 의심할 수 있다.  낙상 및 골절, 요실금, 변실금, 영양실조, 경련, 말기에 발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약물 부작용으로는 인지 기는 감퇴, 기립성 저혈압, 안절부절못함, 변비 등이 나타난다.  

 

치료

치매 환자는 3- 6 개월 간격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다.  약물요법으로는 인지기능 개선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 약물을 복용한다.  우울증, 망상, 배회, 수면장애 등의 정신 행동 증상은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증 약물, 할 불안병 약물, 항경련 약물 울 복용한다.  비약물요법으로는 단순하고 구조화되어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행동 수정을 위해 강화, 필요시 격리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안지 및 활동 자극으로 수공예, 간단한 물건 만들기, 원예, 독서, 그림 그리기, 음악을 듣거나 노래 부르기  등 대상자에게 익숙하며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활동을 한다.

 

예방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 성인병을 철저히 관리한다.  소량의 균형 잡힌 식사를 섭취하되 채소와 어류를  통해 항산화 영양소를 섭취하고 적절한 운동을 꾸준히 규칙적으로 하고 개인적인 취미 활동을 꾸준히 한다.  사교모임 등  사회 활동을  지속한다. 기억력 장애 증상을 보이는 경우 치매 안심센터를 통해 조기 검진을 받게 한다.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 4가지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 4가지

WHO의 조사 결과 세계 보건기구인 WHO가 발표한 섭취 지방 줄이기 운동을 한다. 우리가 즐겨먹는 말랑말랑한 부드러운 빵이나 바삭바삭한 튀김을 즐겨 먹는다. 특히 야식의 문화가 발달하고 배달

susan1539.tistory.com

파킨슨 질환 증상과 치료 및 예방 방법

 

파킨슨 질환 증상과 치료 및 예방 방법

파킨슨 질환 증상 관련 요인 파킨슨질환은 증 추신 경계에 서서히 진행되는 퇴행성 변화로 원인은 불명확하나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을 만들어 내는 신경세포가 파괴되는 질환이다. 중뇌의

susan1539.tistory.com

뇌졸증 관련요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및 예방 방법

 

뇌졸증 관련요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및 예방 방법

관련 요인 흔히 중풍이라 부르는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소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뇌혈관 질환입니다. 뇌졸증은 뇌혈관이 막힌 뇌경색과

susan1539.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