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상식

뇌졸증 관련요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및 예방 방법

by susan1539 2022. 6. 14.

흔히 중풍이라 부르는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소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뇌혈관 질환입니다. 뇌졸증은 뇌혈관이 막힌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진 뇌출혈로 구분됩니다. 

관련 요인

흡연, 스트레스, 고령, 뇌졸증 가족력,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과거력, 비만, 혈액 내 콜레스톨 수치가 높은 고지혈증을 가진 분들이 나타납니다.  증상으로는 뇌혈관은 부위에 따라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혈관에 병변이 있는지에 따라 뇌졸중의 임상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운동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실어증), 의식장애 등입니다.  반신마비는   손상된 뇌의 반대쪽 팔다리, 안면 하부에 갑작스러운 마비가 옵니다.  전신마비는 뇌간 손상 시 전신 마비와 함께 의식이 저하됩니다. 반신 감각장애는 (감각이상, 감각소실) 손상돈 뇌의 반대쪽의 시각, 촉각, 청각 등의 장애로서 남의 살 같거나 저리고 불쾌한 느낌, 얼얼한 느낌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언어장애는 죄측내가 손상된 경우 우측 마비와 함께 말을 못 하거나 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실어증이 나타납니다.  뇌손상 부위에 따라 글을 못쓰고 못 읽으며, 목구멍, 입술 등의 근육이 마비되어 발음이 부정확하고 마치 술 취한 사람처럼 어눌한 발음으로 말을 합니다. 극심한 두통과 반복적인 구토, 의식 소실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의식 장애로써 뇌간 부위에 뇌졸중이 발생하면 의식이 저하됩니다. 뇌졸증으로 인한 뇌손상 부위가 광범위할 때도 의식이 저하되고 매스껍고 토하는 증상과 함께 몸의 불균형을 보이기도 하죠.  소뇌에 뇌졸증이 발생하였을 때 술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고 한쪽으로 자꾸 쓰러지려 하고 물건을 잡으려고 할 때 정확하게 잡지 못합니다.

 

시력 장애는 한 개의 물체를  보는데 두 개로 보이는 복시나 시야의 한 귀퉁이가 어둡게 보이는 시아 장애가 발생합니다.  또한 음식이나 물을 삼키기 힘든 영하 장애가 오기도 하고요.  뇌졸중으로 인한 치매는 비교적 갑자기 발생합니다.  정상적으로 생활하던 사람이 갑자기 동작이 서툴러지고 대소변을  못 가리며 감정 조절의 이상이 생기고 기억력, 계산력, 판단력 등 지적 능력이 감소하게 되면 혈관성 치매를 의심해 봐야 합니다.  

 

 

 

치료 및 예방

약물요법으로는 혈전용해제나 항응고제 등을 복용할 수 있고 뇌경색 발생 4시간 이내에는 주사적인 혈전용해제로 치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뇌경색 약물을  복용하던 대상자는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갑자기 약을 끊으면 안 됩니다.  뇌부종 등으로 인해 생명이 위급할 때는 수술 룰 받게 되기도 합니다.

 

현기증과 팔다리 저림, 뒷골 통증 등과 같은 뇌출혈의 전구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반신 마비 등의 증상이나 근육의 위축이나 허약을 방지하기 위해 발병 초기부터 재활 요법을 병행합니다.  또한 동맥 경화증과 고혈압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휴식을 취하면서 갑작스럽게 자세를 바꾸지 않아야 합니다.  삼키는 것이 어렵거나 발음이 어눌해진 다면 음식을 삼킬 때 폐로 흡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뇌졸중의 전구 증상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살필 사항 7가지 증상

1.  한쪽 팔다리가 마비되거나 감각이 이상하다.

2.  말할 때 발음이 분명치 않거나 말을 잘 못한다.

3.  일어서거나 걸으려 하면 자꾸 한쪽으로 넘어진다.

4.  주위가 뱅뱅 도는 것처럼 어지럽다.

5.  갑자기 눈이 안 보이거나 둘로 보인다 

6.  갑자기 벼락 치듯 심한 두통이 온다,

7.  의식 장애로 깨워도 깨어나지 못한다.

 

 

 

 

치매란?

 

치매란?

관련 요인 치매란 정상적이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뇌에 발생한 여러 가지 질환으로 인하여 인지기능을 상실하여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상태이다. 기억 인식, 추리, 판단력, 시간, 장소, 사

susan1539.tistory.com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 4가지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 4가지

WHO의 조사 결과 세계 보건기구인 WHO가 발표한 섭취 지방 줄이기 운동을 한다. 우리가 즐겨먹는 말랑말랑한 부드러운 빵이나 바삭바삭한 튀김을 즐겨 먹는다. 특히 야식의 문화가 발달하고 배달

susan1539.tistory.com

 

반응형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게릭병의 초기 증상  (0) 2022.06.16
파킨슨 질환 증상과 치료 및 예방 방법  (0) 2022.06.14
치매란?  (0) 2022.06.12
국가검진 (공단검진) 잘 챙기세요  (0) 2022.06.11
근전도검사를 아십니까?  (0) 2022.06.09

댓글